요즘 국내 증시, 한숨 나온다는 분들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석 달 새 외국인 투자자가 썰물처럼 빠져나가면서 지수를 억누르고 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외국인들은 국내 주식을 도대체 얼마나, 무엇을, 왜 파는 걸까요?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지난 8월에서 10월 석 달간 매매 동향을 보면 외국인이 14조7천억, 기관은 2조6천억을 순매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개인만 홀로 15조6천억 원을 매수하며 지수를 떠받쳤죠. <br /> <br />외국인들은 무엇을 팔았을까요? 바로 반도체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시가총액 1위 기업인 삼성전자를 석 달간 무려 15조2천억 원이나 순매도했는데, 같은 기간 국내 대표 반도체 기업을 묶은 KRX 반도체 지수는 17%나 급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국인들은 대체 왜 이렇게 파는 걸까요? <br /> <br />우선 달러 강세, 즉 고환율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요즘처럼 환율이 높으면 한국 시장에서 원화로 수익을 내더라도 달러로 환전하면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국내 시장에서 차익을 실현하고, 달러 자산으로 이동하는 거죠. <br /> <br />그리고 미국 경제지표가 예상보다 견조해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가 낮아진 것도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미국 경기가 여전히 활황이니 연준이 금리를 더 내리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거죠. <br /> <br />고금리 환경에서 더 높은 수익률을 찾아 투자자금이 빠져나가는 거죠. <br /> <br />여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도 한몫한다는 평갑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의 공약대로 관세 정책이 현실화하면 인플레를 자극해 연준의 금리인하 기조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게 시장의 우려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반도체, 자동차 등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가 타격 입을 것이라는 잿빛 전망까지 겹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한편 한국 증시는 외국인들이 볼 때 그다지 매력이 없다는 문제가 오래전부터 제기돼왔습니다. <br /> <br />대체로 배당 성향이 낮은 데다 순환출자 구조, 오너 경영 등 외국인 투자자들이 불안해할 요소가 많다는 거죠. <br /> <br />설상가상으로 이제는 개인마저 국내 증시를 외면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면초가에 빠진 K-증시, 매력도를 살릴 방안이 시급하다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진혁 (chojh033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1208484388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